우리가 웹사이트를 관리할 때 이용자들의 나의 웹사이트를 많이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보기에 좋은 웹사이트이기 전에 우선 검색엔진 로봇이 이해하기 쉬운 웹사이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오늘은 이 검색엔진최적화 작업인 SEO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하게 되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데요 무엇보다도 나의 웹사이트가 인터넷 상에서 쉽게 검색이 되어질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누군가 검색어를 입력해 정보를 찾으려고 할 때 나의 글이 검색 목록 상위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잘 방문하지 않는다면, SEO부터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자료나 제품을 검색할 때 가장 먼저 하는 행동이 뭘까. 바로 구글, 네이버 등의 검색엔진에서 검색하는 일이다. 따라서 블로그든 개인 홈페이지든 콘텐츠 제작자가 올리는 글이 사람들에게 보여지려면 검색이 잘 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검색엔진 최적화(SEO)는 ‘Search Engine Optimization’ 또는 ‘Search Engine Optimizer’의 약자로, 검색엔진에서 검색이 잘 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렇게 검색 상위노출을 위해서는 웹문서의 title에 키워드가 포함되어있는 것이 좋으며 키워드의 순서대로 본문을 작성해나가시면 좋습니다.
또한 본문내용은 충분히 많이 3천자 이상 작성하시는 것이 좋으며 주제와 연관되는 키워드 2차키워드를 서브키워 등을 활용해서 본문을 작성해주시면 좋습니다.
단 같은 사이트에서 같은 키워드를 너무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역효과가 있으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링크를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좋지 않은 사이트로 판단되어 검색 상위 노출에 좋지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웹표준을 준수하여 사이트 로딩 속도를 줄여줄 수록 좋은 웹사이트로 인식하여 상위노출에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서 작성 시 맞춤법을 틀릴 경우 정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검색노출에 피해를 볼 수 있으니 맞춤법은 꼭 틀리지 않게 유의해주세요
적절한 사진과 표 테이블 사용은 더욱 좋은 문서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text와 사진을 잘 섞어서 글을 작성해주시면 그렇지 않은 글들에 비해 검색 상위노출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글의 경우 새로만들어진 페이지 보다도 꾸준히 업데이트되어 관리되는 글들을 더 좋아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한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닌 자꾸자꾸 업데이트를 해서 정보를 수정 관리해주시는 것이 오래 살아남는 포스팅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무분별한 이미지 사용 역시 좋지 않은 효과를 줍니다. 또한 단순 복사한 글들을 붙여넣을 경우 저품질이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구글은 개성있는 정보를 좋아합니다. 예를 들어 검색해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비슷한 내용이 아닌 유일한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생겨난 정보들을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또 구글의 경우 IT관련된 게시물을 좋아하는데요 개발관련 글이나 우주 공상과학에 대한 주제를 더욱 전문적인 포스팅으로 인식해 검색 노출에 장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 최적화가 주는 비즈니스 이점
검색엔진에 최적화 돼 검색이 잘 되면 사업 면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이점이 있을까.
우선, 투자수익률(ROI)의 상승을 이야기할 수 있다. 투자수익률은 투자한 뒤 얼마나 회수했는지 파악하는 수치이다. 많은 기업들이 CPC(Cost Per Click)가 발생하는 키워드 광고를 홍보를 위해 사용한다. 상단에 노출돼 높은 트래픽을 유지할 순 있지만 키워드 광고를 통해 웹페이지에 방문자를 유입할 때마다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 광고 예산이 모두 소진되면 검색 결과는 자연스럽게 내려간다.
또한 티스토리 블로그를 생성한 이후에는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나 구글 서치콘설에 사이트를 등록해준 뒤에 게시물을 작성할때마다 색인 생성 및 수집요청을 통해서 정확한 글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Domain Diversity:
구글은 검색결과 내에 하나의 루트도메인이 너무 많이 노출되지 않도록 조절하고 있다.
주) 이 부분은 확인이 필요합니다.
Number of Tweets, Number of Facebook Likes, Facebook Shares:
트윗이나 좋아요, 공유의 수가 많을 수록 유리하다.
Authority of Twitter Users Accounts, Authority of Facebook User Accounts:
소셜공유를 한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계정이 권위 있는 사용자의 것일 수록 유리하다.